본문 바로가기
신나는 생활경제 이야기

적금 금리로 받는 이자는 절반도 안된다? (Ft. 복리 이자 계산법)

by 신나는경제 2023. 3. 27.
반응형

안녕하세요. 경제소식을 전해드리는 신나는 경제입니다.

 

오늘은 적금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드릴 예정입니다. 설명에 앞서 예시를 통해서 포스팅을 시작해 보겠습니다.

 

예시) 매월 100만 원씩 연 이자율 3%로 12개월간 적금을 납입한다고 가정하면, 원금은 1200만 원 이자는 1200만 원의 3%인 36만 원으로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계산하면 1년 뒤 내가 받을 금액은 1236만 원이 되겠죠.

 

하지만 1년 뒤 받을 수 있는 총금액은 12,164,970원이 됩니다. 195,030원의 이자는 어디로 간 것일까요?

이제부터 차근차근 설명드리겠습니다.

달러사진
적금의 금리를 이해하자

◎ 적금의 이자는 최종납입금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간단하게 표를 통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월 납입금 1,000,000원 / 이자율 3% / 납입기간 12개월 

납입 개월 수 월 적금 금액 이자
1개월 1,000,000원 1000000 X 3% X12/12 30,000원
2개월 1,000,000원 1000000 X 3% X11/12 27,500원
3개월 1,000,000원 1000000 X 3% X10/12 25,000원
4개월 1,000,000원 1000000 X 3% X9/12 22,500원
5개월 1,000,000원 1000000 X 3% X8/12 20,000원
6개월 1,000,000원 1000000 X 3% X7/12 17,500원
7개월 1,000,000원 1000000 X 3% X6/12 15,000원
8개월 1,000,000원 1000000 X 3% X5/12 12,500원
9개월 1,000,000원 1000000 X 3% X4/12 10,000원
10개월 1,000,000원 1000000 X 3% X3/12 7,500원
11개월 1,000,000원 1000000 X 3% X2/12 5,000원
12개월 1,000,000원 1000000 X 3% X1/12 2,500원
납입금 총액 12,000,000원 세전 이자 총액 195,000원

보면서 어느 정도 이해 되셨을까요? 조금은 복잡할 수 있어 풀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번째 1,000,000원은 만기까지 12개월간 은행에 예치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은행은 12개월간의 이자를 주어야 합니다.

 

2번째 1,000,000원은 만기까지 11개월간 은행에 예치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은행은 11개월간의 이자를 주어야 합니다.

 

3번째 1,000,000원은 만기까지 10개월간 은행에 예치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은행은 10개월간의 이자를 주어야 합니다.


11번째 1,000,000원은 만기까지 2개월간 은행에 예치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은행은 2개월간의 이자를 주어야 합니다.

 

 

12번째 1,000,000원은 만기까지 1개월간 은행에 예치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은행은 1개월간의 이자를 주어야 합니다.

 

이제 이해가 되셨을까요?? 은행입장에서는 은행에 예치가 되어 있지 않는 돈에 대해서는 당연하게 이자를 지급해 주지 않는 것입니다.

 

 

여기서 한 가지 더 의문의 가지셔야 합니다.

195,000원이 이자인 것은 이해했는데, 실제 이자 지급액은 164,970원이 되는 것일까? 

 

답은 세금입니다. 

 

이자소득세(이자소득세 14%, 지방소득세 1.4%) 15.4%를 내야 하기 때문이죠. 

 

195,000 원 X 15.4 % = 30,030원의 세금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 적금 계산기를 활용하자


검색창에 적금 계산기를 검색하면 간단하게 내가 가입했거나 가입할 상품의 조건을 입력하여 만기의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적금 계산기
이자 계산기

이자 부분을 봤을 때 단리와 월복리 거 있는 것을 확인하였을 텐데요. 결론은 월복리가 좋습니다. 그러면 단리와 복리의 차이점을 설명하여 드리 고리도록 하겠습니다. 

단리와 복리
단리와 복리를 이해하자

◎ 적금은 단리 상품과 복리 상품이 있다


이자를 적립하는 방식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단리와 복리입니다. 적금 역시 복리 상품이 있어서 잘 활용한다면 조금이라도 더 많은 이자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우선 단리와 복리에 대한 개념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단리는 원금에 대하여서만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복리의 경우 원금과 이자의 합에 이자를 붙이는 방식입니다.

간단하게 식으로 표현하여 알려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n=기간

단리 : 원금[1+(금리 X n)

 

복리 : 원금 ×(1+금리)ⁿ

 

계산식이 복잡할 수 있지만 단리와 복리의 차이점 정도만 이해하면 충분합니다. 우리에게는 적금 계산기가 있기 때문에 적극 활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간단하게 계산기로 월복리와 단리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월 100만원 / 기간 36개월 / 금리 3%

 

이자계산기
이자계산기
이자계산기
이자계산기

 

이제는 적금을 새로 시작하실 때 월 복리 적금 상품을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목돈을 마련하기 위해서 적금은 꼭 필요한 금융 상품 중 하나입니다. 적금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정확하게 이해하시고 조금 더 좋은 상품을 선택하실 수 있는 현명한 소비자가 되시기를 바랍니다.

 

이상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