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화량이란?
화폐 공급은 특정 시점에 경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총화폐량을 의미한다. 그것은 물리적 통화, 은행의 요구불 예금 및 기타 유형의 유동 금융 자산과 같은 모든 형태의 화폐를 포함한다.
M1, M2, M3를 포함한 여러 통화 공급 척도가 있으며, 이는 포함하는 자산의 유형에 따라 다릅니다.
M1에는 실물 화폐, 당좌예금, 여행자 수표가 포함된다. 이것은 통화 공급량을 측정하는 가장 좁은 척도이며, 경제에서 유통되는 현금의 양을 측정하는 데 종종 사용된다.
M2는 M1+저축예금, 정기예금 및 요구불예금보다 유동성이 낮은 기타 유형의 예금을 포함한다. M2는 M1보다 더 광범위한 통화 공급의 척도이며 종종 지출 및 투자에 사용할 수 있는 통화량의 지표로 사용된다.
M3에는 M2+대규모 정기예금, 기관 머니마켓펀드 및 기타 유형의 유동성이 낮은 자산이 포함된다. M3는 통화 공급량을 측정하는 가장 광범위한 척도이며 종종 유동성 자산과 유동성이 낮은 자산을 포함한 경제의 총통화량을 추적하는 데 사용된다.
통화공급은 중앙은행의 행동, 경제활동 수준, 저축과 지출 측면에서 가계와 기업의 행동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통화 공급량의 변화는 인플레이션, 금리, 경제 성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통화량과 인플레이션의 관계
통화 공급과 인플레이션의 관계는 경제학에서 널리 논의되는 주제이다. 화폐 수량 이론에 따르면, 경제에서 화폐 공급과 물가 수준 사이에는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상품과 서비스의 생산량이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통화 공급량이 증가하면 같은 양의 상품과 서비스를 쫓는 돈이 많아지기 때문에 가격이 상승한다는 것이다.
통화 공급량이 늘어나면 수요가 늘고, 이는 다시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얘기다. 같은 양의 상품과 서비스를 살 수 있는 돈이 더 많기 때문이다.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생산자들은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가격을 인상할 수 있으며, 이는 경제 전반에 걸쳐 전반적인 가격 수준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나 통화 공급과 인플레이션의 관계가 항상 직접적인 것은 아니다. 단기적으로 경제가 완벽하게 가동되지 않는다면 통화공급의 변화가 즉각적인 인플레이션 증가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수요 증가는 가격 상승보다는 생산량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게다가, 기술, 세계 무역, 정부 정책의 변화와 같은 다른 요소들도 경제의 가격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통화 공급량의 증가는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수 있지만, 둘 사이의 관계는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에 의존한다. 중앙은행과 정책입안자들은 통화공급을 면밀히 감시하고 금리와 기타 정책 수단을 조정하여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물가와 낮은 인플레이션을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인플레이션의 장점과 단점
인플레이션은 경제에서 상품과 서비스의 일반적인 가격 수준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인플레이션의 장점과 단점은 다음과 같다
인플레이션의 장점
1. 경제 성장 촉진: 인플레이션은 소비자 지출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기업들이 생산을 늘리고 더 많은 근로자를 고용하도록 장려함으로써 경제 성장을 자극할 수 있다.
2. 부채 부담 감소: 인플레이션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채의 실질 가치를 감소시킴으로써 모기지와 같은 미상환 부채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3. 수익 증대: 인플레이션은 가격을 올리고 이익률을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업, 특히 가격 결정력이 있는 기업의 이익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인플레이션의 단점:
1. 구매력 감소: 인플레이션은 개인의 소득과 저축의 구매력을 떨어뜨려 소비지출 감소와 생활수준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2. 불확실성 증가: 높은 인플레이션은 금융시장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으로 이어져 기업과 개인이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기 어려울 수 있다.
3. 부의 재분배: 인플레이션은 대출자들이 돈을 빌렸을 때보다 가치가 낮은 달러로 빚을 갚을 수 있기 때문에 대출자들로부터 대출자들에게 부의 재분배를 할 수 있다.
4. 차입 비용 증가: 인플레이션은 더 높은 금리로 이어져 개인과 기업의 차입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은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미칠 수 있으며, 최적의 인플레이션율은 경기 순환의 단계와 경제의 전반적인 건전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신나는 경제이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카르도의 비교우위론이란? (0) | 2023.02.14 |
---|---|
공공경제학이란? (0) | 2023.02.14 |
자본주의에서 빈부 격차를 해결할 수 있을까? (1) | 2023.02.14 |
국제경제학이란? (0) | 2023.02.14 |
독점과 과점은 어떤 장단점이 있을까? (0) | 2023.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