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전달해 드리는 신나는 경제입니다. 오늘은 한부모가정 지원금 조건 및 신청방법에 대하여 말씀드릴 예정입니다.
해당 조건에 맞으시는 분들께서는 꼭 신청하셔서 놓치고 계신 해택들 꼭 받으시길 바랍니다.
◎ 한부모 가정 지원금이란?
● 한부모 가정이란?
사별, 이혼, 미혼모등 모(母) or 부(父) 혼자 만 18세 미만의 어린 자녀를 양육하는 가정을 말합니다.
● 한부모 가정 지원금이란?
저소득 한부모 가족 및 조손가족들이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제도입니다. 양육비와, 자녀교육비, 생활보조금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한부모 가정 지원금 기준
1. 모(母) or 부(父) 혼자 만 18세 미만의 어린 자녀를 양육하는 경우.
2. 부모의 부양을 받지 못하는 만 18세 미만의 손자녀를 할아버지, 할머니가 양육하는 경우.
3. 위 조건에 부합하는 가정에서의 소득이 기준이 중위 소득 60% 이하의 조건을 충족.
* 기준 중위 소득 60% 금액
2인가구 : 2,073,693원
3인가구 : 2,660,890원
4인가구 : 3,240,578원
5인가구 : 3,798,413원
6인가구 : 4,336,789원
여기서 확실하게 확인하셔야 할 사항은 소득기준이 아닌 소득인정액 기준을 적용한다는 점입니다. 이 부분은 정확한 계산이 필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아래 복지로 계산기에 접속하셔서 확인하시는 것이 정확합니다.
위 조건에서 현재의 물가 수준을 받을 때 소득기준이 현실과는 조금 괴라가 있어 보입니다. 복지를 무분별하게 늘리는 것이 능사는 아니지만, 조금 개선의 여지가 있어 보이는 것이 사실입니다.
◎ 한부모 가정 지원금 혜택
● 아동 양육비
만 18세 미만 자녀에게 1인당 20만 원의 양육비를 지원합니다.
● 추가 아동 양육비
조건
1. 조손가족 및 만 35세 이상 미혼 한부모 가족의 만 5세 자녀가 있는 경우
2. 만 25 ~ 34세 이하 청년 한부모가족의 만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경우
해택
1. 조손가족 및 만 35세 이상 미혼 한부모가족의 만 5세 이하 아동에게 1인당 월 5만 원 지급
2, 만 25 ~ 34세 이하 청년 한부모가족의 만 5세 이하 아동에게 1인당 월 10만 원 지급
3. 만 25 ~ 34세 이하 청년 한부모가족의 6세 이상 18세 미만 아동에게 1인당 월 5만 원 지급
※ 추가 아동 양육비의 경우는 조건이 맞는 다면 아동양육비 20만 원에 추가로 해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아동교육 지원비
중학생, 고등학생 자녀에게 1인당 연 93,000원의 금액이 지급됩니다.
● 생활보조금
한부모 가족 복지시설에 입소한 저소득 한 가구당 5만 원의 생활 보조금이 지급됩니다.
● 청소년한부모 아동양욱비 지원
모(母) or 부(父)가 만 24세 미만인 청소년 한부모 가정의 경우에는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024년 한부모가정 지원 확대
1. 2024년 한부모가족 지원 예산 : ‘23년 505,562백만 원 → ’ 24년 정부안 544,143백만 원.
2. 소득기준이 기준중위소득 60% 이하에서 63% 이하로 완화.
3.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금액은 자녀 1인당 현재 월 20만 원에서 월 21만 원으로 1만 원 인상.
4. 24세 이하 청소년한부모(중위 65% 이하)는 자녀가 0-1세 영아인 경우, 아동양육비 지원금액을 현재 월 35만 원에서 월 40만 원으로 인상.
5. 안정적인 주거환경에서 자녀를 양육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에서 매입한 공공임대주택 제공을 확대하고, 임대료 부담 경감을 위해 보증금 지원 금액을 올릴 예정.
◎ 한부모 가정 지원금 신청방법
● 복지로 신청방법
아래에 링크로 접속하셔서 로그인 후 진행하시면 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아래의 화면으로 바로 이동합니다. 신청하기 버튼을 클릭하시고 신청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 주민센터 신청방법
거주지 관할 주민센터에 방문하셔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추가로 조건이 조금 어려우신 분들께서는 아래의 전화번호로 전화하셔서 상담을 받으시길 추천드립니다.
* 한부모상담전화 : 1644 - 6621
* 여성가족부 : 02-2100-6000
지금까지 한부모가정 지원금 조건과 혜택 그리고 신청방법에 대하여 포스팅해 보았습니다. 꼭 확인하셔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신나는 생활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스 대환 대출, 대출 갈아타기 조건 및 신청방법 (0) | 2023.10.18 |
---|---|
HUG 전세보증보험 조건 및 신청방법 총정리 (1) | 2023.10.16 |
이스라엘 하마스 분쟁 원인과 경제 영향(Ft. 국내주식) (1) | 2023.10.10 |
대학교 성적증명서 인터넷 발급 방법 (0) | 2023.10.05 |
국민연금 해지 방법 및 반환일시금 조건(Ft.조기수령 조건) (1) | 2023.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