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나는 경제입니다.
아직도 많은 분들께서 기초연금과 노령연금을 혼동하시는 부분이 있어 우선 간단하게 정리하고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 기초연금
명칭이 변경 전 기초노령연금으로 불리다가 2014년도에 기초연금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단순하게 만 65세 이상 어르신분들 중 상대적으로 소득과 재산이 적은 분들께 드리는 연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노령연금
노령연금은 국민연금의 종류 중의 하나로 우리가 받는 국민연금이 노령연금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국민연금에 관한 사항이 궁금하시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2023.05.16 - [신나는 생활경제 이야기] - 국민연금 추가납부 조건 및 신청 방법(Ft. 납입기간 늘 리는 Tip)
국민연금 추가납부 조건 및 신청 방법(Ft. 납입기간 늘리는Tip)
경제 정보를 전해드리는 신나는 경제입니다. 오늘은 국민연금 추가납부제도에 대하여 포스팅 예정입니다. 추가납부제도는 부득이한 사정으로 인하여 일정기간 동안 국민연금을 납부하지 못한
nice-economy.tistory.com
목차 1. 기초연금 수급 자격 2. 소득인정 기준액 계산방법 3. 기초연금액 감액 사유 4. 신청 방법 |
◎ 기초연금 수급자격
○ 수급 대상자
▶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대한민국 거주자
▶ 만 65세 이상
▶ 소득 인정 기준액 202만 원(단독가구), 322.2만 원(부부가구) 이하
▶ 연금 수령액 최대 323,180원(단독가구), 517,088원(부부가구)
※ 공무원연금, 사립학교교직원연금, 군인연금, 별정우체국연금 수급권자 및 배우자는 제외
예외 사항
◎ 소득 인정 기준액 계산 방법
소득인정액을 계산하는 방법은 일반사람들이 정확하게 확인하기는 어렵습니다.
아래의 모의 계산기를 통해 계산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해당 링크로 접속하시고 기본정보 및 소득정보 마지막으로 재산 정보를 입력하시면 소득 인정금액 계산이 가능합니다.
◎ 기초연금액 감액사유
▶ 국민연금의 월 급여액이 484,770원 이상부터 감액이 됩니다.
▶ 부부가 모두 기초연금을 수령할 경우 각각의 금액에 대하여 20%씩 감액하게 됩니다.
▶ 소득역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득인정액 + 기초연금액 금액과 선정기준액의 차이만큼 감액하게 됩니다.
◎ 신청 방법
○ 신청 가능 장소
▶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 가까운 국민연금 지사
▶ 복지로를 통한 인터넷 신청
○ 준비 서류
▶ 신분증
▶ 통장사본 (본인 계좌)
▶ 배우자의 금융정보 등 제공 동의서
▶ 전· 월세 계약서(해당자에 한함)
위 서류를 제외하고 다른 필요서류는 방문하시는 곳에 구비되어 있습니다.
기초연금과 노령연금의 차이점을 이해하시고, 최대로 많은 공적 연금을 받을 실 수 있도록 설계하시는 게 중요합니다.
기존 재산이 많이 있으셔서 받지 못할 것이라고 처음부터 판단하지 마시고 우선은 확인을 꼭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국가에서 지원하는 공적연금을 모두 받으셔서 좀 더 즐거운 노후생활이 되시기를 응원합니다.
이만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신나는 생활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및 기간 알기 쉽게 정리 (0) | 2023.06.15 |
---|---|
공매도 뜻과 순기능 역기능 확인하자 (0) | 2023.06.12 |
숨은 정부 지원금 종류 및 신청 방법 총정리! (0) | 2023.06.08 |
주휴수당 간단한 계산법( Ft.계산기) (0) | 2023.05.30 |
고용보험 가입이력 간단하게 조회하기 (0) | 2023.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