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나는 생활경제 이야기

주휴수당 간단한 계산법( Ft.계산기)

by 신나는경제 2023. 5. 30.
반응형

주휴수당 간단한 계산법
주휴수당 간단한 계산법

 

오늘은 아르바이트를 경험한 분들이시라면 들어보셨을 주휴수당에 관하여 포스팅 예정입니다. 

 

지금 혹시나 주휴수당을  못 받고 계신 분들이라면 한번 더 확인하셔서 정당한 권리를 찾으시길 바랍니다.

 

오늘 포스팅을 잠깐만 확인하시면 쉽게 계산하실 수 있으실 거라 확신합니다.

 

주휴수당 조건
조건

◎ 주휴 수당 조건


주휴수당은 근로자가 주휴일에 받는 임금으로 1주일 동안 예정된 근무일수를 다 채우면 주어지며, 근로자는 근무를 하지 않아도 1일분의 급여를 추가 지급받는 제도입니다.

 

근로기준법에서 주휴수수당을 받기 위한 조건을 아래와 같이 서술하고 있습니다.

 

1. 주당 15시간 이상 근무 

2. 일주일 이상 근무

3. 일주일간 예정된 근무 일수를 충당

4. 4주간의 평균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

 

일주일간 예정된 근무시간을 충족하여, 15시간 이상을 근무한다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주일 이내로 입사 후 퇴사하시는 분들은 지급 조건에서 제외됩니다.

 

또한 4주간 평균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여하 하는데요. 첫 번째 주는 20시간을 일하고 두 번째, 세 번째, 네 번째 주는 10시간을 일했다면,  주당 평균 근로시간이 12.5시간 이기 때문에 첫 번째 주 역시도 지급 조건에서 제외됩니다.

 

 

◎  계산법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는 일자리임을 확인하셨다면, 정확한 금액을 확인하셔야겠죠?  

 

계산을 위해 제일 먼저 확인해야 할 사항은 주당 근무시간입니다.

 

◆ 주 40시간 이상 근무 : 8 X 근로자의 시급

 

◆ 주 40시간 미만 근로자 : 근로시간 ÷ 40 X 8 X 근로자의 시급 

 

 

실제로 계산을 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시급을 10,000원으로 주간 40시간 일하는 근로자의 주휴수당 : 8 X 10,000원 = 80,000원 

 

시급을 10,000원으로 주간 20시간을 일하는 근로자의 주휴수당 : 20 ÷ 40 X 8 X 10,000원 = 40,000

 

위 예시 금액은 조건을 충족한 근로자에게 매주 지급하여야 하는 금액입니다.

 

주휴수당 간단한 계산법
계산기

 

◎ 계산기


계산식이 어렵지는 않지만 더욱 정확하고 쉽게 하기 위해서 전용 계산기 사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주휴수당 계산기 바로가기

 

 

주휴수당 계산기
계산기

 

간단하게 총 근무 시간과 시급을 입력하시면 계산이 가능합니다. 

 

 

※ 만약 주휴수당을 지급받지 못하셨다면 고용노동에 증빙자료와 임금체불 진정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시면 됩니다.

 

 

주휴수당 미지급 사업장 신고하기

 


주휴수당의 경우 급여로 인정되기 때문에 소득세와 지방세를 공제한 후 지급 됩니다.  또한 근무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4대 보험을 납부해야 하기 때문에 아르바이트 학생들에게는 실제로 받는 금액이 줄어드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의 경우는 한 달간 60시간 미만 근무자들에게는 가입의무가 없기 때문입니다. 잘 확인해 보셔서 자신에게 맞는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이상 포스팅 마치겠습니다.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