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나는 생활경제 이야기

미국 4대 지수부터 공부하자(S&P500, 다우존스, 나스닥, 러셀)

by 신나는경제 2023. 4. 25.
반응형

경제 이야기를 전해드리는 신나는 경제입니다.

 

미국 투자나 경제 관련 소식을 들을 때 미국 4대 지수, S&P 500 등등 관련 단어를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많은 분들이 아시고 계시지만 정확하게 개념을 정리하기 위해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투자를 위해서는 주식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고 적절한 대응하기 위해서는 종합주가 지수는 정말 중요한 자료입니다.

이번에 확실히 정리하시고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S&P 500

◎ S&P 500 (Standard & Poor's 500 Index)


미국의 가장 대표적인 종합 주가지수입니다. 아마도 가장 많이 들어보셨을 거라고 생각이 드는데요.

 

S&P500은 신용평가사인 Standard&Poor가 나스닥과 뉴욕 거래소에 상장된 주식들 중에서 우량주 500개를 선정하여 발표하는 주가 지수 입니다. 

 

특징으로는 공업(400), 공공(40), 금융(40), 운수(20)등의 그룹화된 지수가 존재하여 각 산업별 주가를 표시할 수도 있습니다. 

 

장점 

시장 전체의 움직임을 파악하기가 쉽고, 전반적인 시장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특히 우량주에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개별 투자자들의 경우는 자신이 투자한 개별 종목과 지수 사에의 괴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우존스 산업지수
다우존스 산업지수

◎ 다우존스 산업지수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다우존스 산업지수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주가종합 지수입니다.  산출 방법은 미국 증시에서 가장 안정된 대표 우량주 30개의 기업을 선정하고 선정된 기업의 시장가격을 평균한 지수입니다.

 

장점 

미국 증권시장의 동향을 파악하는데 영향력 있는 지수 중 하나입니다.

 

단점

다수의 기업이 아닌 30개의 기업만을 선정하여 지수를 산출하기 때문에 주가지수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확신하기는 어렵습니다. 또한 시가총액 방식이 아닌 가중 가격 방식으로만 계산되기 때문에 시장 반영도가 충분하지 않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나스닥 지수
나스닥 지수

◎ 나스닥 (NASDAQ - 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Automated Quotation)


나스닥에 상장되어 있는 모든 기업들을 합산하여 산출하는 지수입니다. 미국의 기술주 중심의 기업들이 포함 되어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구글,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테슬라등이 상장 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나스닥을 벤치마킹하여 벤처기업 위주의 주식시장인 코스닥을 만들기도 하였습니다.

장점 

전 세계에서 영향력 있는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는 지수이므로 미국 기술주들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유용합니다.

 

단점 

주요 공업주, 금융주, 생활 관련 주들이 재외 되어 있어 미국의 모든 산업의 동향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러셀 2000 지수
러셀 2000 지수

◎ 러셀 (Russell Index)

 


미국의 러셀 인베스트먼트가 만든 지수로서  미국의 중소형주들의 주가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는 지수입니다.

 

러셀 지수의 경우 미국 시가총액 상위 3000개 기업의 지수인 러셀 3000과 이들 중 상위 1000개의 기업을 제외한  2000개 기업의 지수로 구성된 러셀 2000이 있습니다.

 

장점 

러셀 2000의 경우 상대적으로 중소형주편입이 많기 때문에 미국경기의 선행지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단점

러셀 2000 경우 상위 기업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미국 전반의 주가 지수를 나타내는 역할에는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이제까지 미국을 대표하는 4대 주가지수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하여 포스팅 하였습니다.

 

미국 주식투자를 위한 기본부터 차근차근 포스팅 예정입니다.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