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나는 생활경제 이야기

연방준비제도(FED)를 이해하고 투자하자(ft.한국은행과 차이점)

by 신나는경제 2023. 4. 14.
반응형

신나는 경제이야기를 전해 드는 신나는 경제입니다.

 

요즘 방송에서 연방준비제도(FED)에 대한 이야기가 자주 등장합니다. 그러면 FED는 어떤 기관이며, 무엇을 목표로 하고 있을까요?

 

또한 한국의 중앙은행인 한국은행과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연방준비제도
연방준비제도

 

 

◎ 연방준비제도(FED)는 어떤 기관일까?


연방준비제도는 크게 보면 미국의 중앙은행제도입니다. 1913년 12월 23일에 설립되어서 미국의 경제성장과 안정을 위한 유연한 통화 및 금융시스템을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907년 대공항을 겪으면서 미국의 은행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국가화폐위원회가 설치되었습니다.

 

이때 위원장이었던 넬슨 W. 엘드리치 상원의원은 유럽의 각 중앙은행들을 확인하고 미국의 재력가 7명과 JP모건의 저택에서 회의를 가지게 됩니다.

 

여기서의 특이한 점은 연방준비제도는 달러를 발행하는 막강한 권력을 가지지만 국가가 아닌 민간은행이라는 점입니다. 지금도 미국 정부는 연방준비 제도로 부터 달러를 빌려오는 방식으로 화폐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FED의 목적과 정책수단
FED의 목적과 정책수단은?

◎ FED의 목적과 정책수단은 무엇일까?


FED의 목적과 정책 수단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물가 안정

목표: 물가 안정화를 위해 중점적으로 정책을 수립하고 추구합니다.

정책 수단: 연방준비제도는 기준금리를 조절하여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을 예방하고 물가 안정화를 유지합니다.

 

2. 경제 성장

목표: 경제 성장과 고용 증대를 추구합니다.

정책 수단: 연방준비제도는 경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낮추어 투자와 대출을 촉진하고, 경제 활동을 촉진합니다.

 

3. 고용 증대

목표: 고용 증대도 중요한 목표 중 하나입니다.

정책 수단: 연방준비제도는 경제 활동을 촉진하여 고용 증대를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기준금리를 낮추어 기업의 대출과 투자를 촉진합니다.

 

4. 금융 안정

목표: 금융 시스템의 안정을 유지하고, 금융 위기의 발생 가능성을 낮추려고 노력합니다.

정책 수단: 연방준비제도는 금융 시스템의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은행 감독과 감시를 수행하며, 필요시 은행의 결제 능력을 지원합니다.

 

5. 통화 발행 및 공급

목표: 안정적인 통화 발행과 공급을 유지하여 경제 활동을 지원합니다.

정책 수단: 연방준비제도는 금융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필요한 만큼의 통화를 발행하고, 금리를 조절하여 경제 활동을 지원합니다.

 

◎ FED의 구성은 어떻게 되어 있을까?


FED의 구성과 각각의 구성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FED 구성
출처 : 부산일보

 

1. 연방준비제도이사회(Board of Governors)

미국의 12개 연방준비은행을 감독하는 기관입니다. 미국의 은행 제도를 감독 및 규제하고 있습니다. 구성원은 대통령이 임명하고 상원의원이 인준하며 총 7명의 위원이 있습니다.

 

각 위원회의 임기는 14년이고 2년마다 1명씩 교체되는 형식이며, 재임은 불가능합니다. 의장과 부의장은 대통령이 임명하고 7명의 위원 중에서 선출됩니다. 의장과 부의장의 임기는 4년이고 재임이 가능합니다.

 

2. 연방준비은행

준비은행은  뉴욕, 보스턴, 필라델피아, 클리블랜드, 시카고, 리치먼드, 미니애폴리스, 세인트루이스, 캔자스시티, 댈러스, 샌프란시스코에 12개 존재합니다. 각 지역의 은행들을 관리하며, 각 준비은행은 9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은행장의 임기는 5년입니다.

 

 

3.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FOMC는 총 12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7명은 연방준비제도 이사회에서, 5명은 연방준비은행의 대표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미국의 금융정책을 결정하는 최고 의사결정 기관이며, 1년에 8번 FOMC 회의를 열어 통화 공급량이나 금리여부를 결정합니다.

 

 

4. 연방자문위원(Federal Advisory Council)

12개의 준비은행에서 선출된 대표로 구성된 일종의 자문기관입니다. 정리해서 말씀드리면 수많은 민간은행들의 의견을 이사회에 반영하기 위한 기구입니다.

 

달러
차이점은 무엇일까?

◎ FED와 한국중앙은행(BOK)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한국은 중앙은행인 한국은행과 미국의 연방준비제도는 각 나라의 중앙은행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지고 있는 특징은 조금 차이점에 있는데요. 정리하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1. FED는 전국에 12개의 준비은행이 있는 분산형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한국은행은 서울에 본부를 두고 있는 중앙 집중형 시스템입니다. FED의 경우 지역은행들에게 어느 정도의 자율권과 통화 결정에 의견을 낼 수 있는 반면에 한국은행의 의사결정은 절대적이죠.

 

2. FED의 경우 물가 안정을 중심으로 정책을 수립합니다. 반면 한국은행은 물가안정도 중요한 목표이지만, 경제 성장과 고용증대와 같은 요소들도 중요한 해결 과제입니다.

 

3.FED의 경우 은행 및 기타 금융기관을 감독하고 규제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한국은행의 경우는 금융기관을 관리하는 금융감독원보다는 제한적인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FED에 대하여 자세하게 이야기 나누어 보았습니다. 경제 뉴스나 기사를 볼 때 좀 더 잘 이해되실 거라 생각합니다.

 

오늘도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