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론을 쉽게 전달해 드리는 '신나는 경제'입니다. 오늘 우리는 간과하기 쉽지만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슈링크플레이션'의 뜻과 원인에 대하여 알아볼 예정입니다.
해당 내용을 이해하신 다면 업체들이 어떻게 소비자들을 속이는지 정확하게 이해하시고 현명한 소비를 하실 수 있으실 꺼라 생각합니다.
어렵지 않으니 1분만 투자하셔서 끝까지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
슈링크플레이션이란?
슈링크플레이션은 'Shrink'(줄어들다)와 'Inflation'(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가격은 유지하면서 제품의 크기나 수량을 미묘하게 줄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용어입니다. 아래에서 슈링크플레이션이 발생하는 다양한 원인을 살펴보겠습니다.
스킴플레이션이란?
스킴플레이션은'Skimp'(인색하다)와 'Inflation'(인플레이션)의 합성어로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동일한 가격을 유지하지만 원재료의 품질이나 줄여 서비스가 부족하다는 느낌을 받는 상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아래에서 다양한 원인을 살펴보겠습니다.
슈링크 & 스킴플레이션의 원인
● 원자재 비용 상승
필수 원자재 비용이 상승하면 생산자는 수익성을 유지하기 위해 제품의 자재 수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최근 정부에서 물가 안정을 위해 물가억제 정책을 펼치며 기업들의 비용이 증가한 것이 주된 요인입니다.
● 인건비
인건비 증가로 인해 기업은 비용 관리를 위해 제품 크기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
● 가격 전쟁
시장에서의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기업은 제품의 품질이나 수량을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통화 평가절하
통화 가치의 변화는 수입 자재 비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업체는 비용 증가를 상쇄하기 위해 제품 크기를 조정해야 합니다.
● 공급망 중단
전쟁이나, 지정학적 긴장과 같은 예측하지 못한 글로벌 이벤트는 공급망을 혼란에 빠뜨려 공급 부족과 비용 증가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최근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전쟁과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의 원인으로 공급망이 축소되었습니다.
정부의 대응 방안
정부에서도 이번 관련 사태를 그냥 좌시하지 않을 것임을 이야기하였습니다. 어떤 방식으로든 개입할 것을 이야기하였는데요. 아직까지는 정확한 대응 방법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다양한 방안이 검토되고 있습니다.
우선 용량이 변경된 제품에 대해서는 일정크리고 제품 앞면에 표기를 하여 소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또한 신고센터를 설립하여 해당 사례에 대한 제보를 받을 계획도 있다고 하네요.
하지만 일각에서는 비용이 증가한 이유는 원재료 값 상승이 원이라고는 하지만 '오리온' 같은 식품기업의 영업이익은 오히려 상승하였습니다.
영입이익 상승의 슈링크플레이션의 원인이라고만은 할 수 없으나 3분기 원가가 절감된 것은 사실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대응방법
1. 우리나라도 g, ml, l당 가격을 법적으로 표기하게 되어 있습니다. 우선 단위당 가격을 자세하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최근 편의점이나 대형마트의 PB상품의 판매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미 슈링크플레이션 이슈에 맞춰 판매하는 제품으로 눈여겨보시고 PB상품으로 대체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인플레이션의 원인과 해결 방안
◎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은 일정 기간 동안 경제에서 재화와 용역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말하며, 통화의 구매력과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 현상이다. 물가 상승은
nice-economy.tistory.com
디플레이션의 원인과 해결 방안
경제이론을 설명하는 신나는 경제입니다. 디플레이션은 경제문제에서 중요한 현상 중 하나입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디플레이션의 개념과 원인에 대하여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 보려 합니다. ◎
nice-economy.tistory.com
'신나는 경제이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테그플레이션 뜻과 해결책(Ft.국가 기업 개인 대처법) (5) | 2023.12.15 |
---|---|
빅블러(Big Blur)현상 뜻과 예시 한번에 이해하기(Ft. 마케팅 전략) (1) | 2023.11.29 |
엔화 하락 이유와 투자 방법 총 정리(Ft. 환율 전망) (1) | 2023.11.17 |
디플레이션의 원인과 해결 방안 (0) | 2023.07.12 |
애덤 스미스 국부론 분석(ft.이론 재해석) (0) | 2023.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