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나는 채권투자 이야기

국내채권과 해외채권 투자 타이밍 (ft.해외채권에 투자하라) STEP 6

by 신나는경제 2023. 4. 1.
반응형

경제 이야기를 전해드리는 신나는 경제입니다. 오늘은 실제로 언제 어떤 채권에 투자해야 하는지에 대해 자세하게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채권의 투자는 어떤 시기에 매수하고 매도하는지에 따라 수익률이 극명하게 나뉘는 투자 상품입니다. 이전의 STEP이 채권 투자의 개념 적인 내용이었다면, 이제는 실전입니다.

 

중요한 내용이니 채권 투자를 고민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자세하게 정독하셔야 합니다.

이자 동전
국내채권과 해외채권의 차이점

◎ 국내채권과 해외채권의 차이점


해외 채권의 경우 국내 채권보다 투자의 속성이 강합니다. 국내 채권의 경우 해외 채권보다 투자할 수 있는 범위 가 적기 때문이죠. 우선 각 채권의 속성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비교하기 편하게 금융상품의 기대 투자수익률과 변동성을 순서대로 나열해 봤습니다.

 

예금 < 국내채권 < 글로벌채권<하이일드채권 &이머징마켓채권< 주식

 

위 내용은 제 이전 포스팅을 읽어 보셨다면 이해하실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국내 채권 투자의 경우 우량 회사채권 및 국채위주의 투자 환경이 조성되어 있어 투자수익률과 변동 성이 낮습니다.

 

해외 채권 투자의  경우 모든 등급의 채권을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이 형성된 시장이기 때문에 투자수익률과 변동성이 높은 시장입니다.

세게 주식
채권의 특징을 알아보자

◎ 국내채권의 특징 


국내 채권시장이 해외 채권 시장과 어떤 점이 다른지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1. 국내채권은 상대적으로 수익과 변동성이 낮은 편입니다.

 

2. 듀레이션이 짧은 시장(1년 ~ 3년)을 중심으로 거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채권가격의 영향력이 상대 적으로 낮습니다.
 

3. 국내 채권시장은 국채 및 우량한 회사채 중심의 시장이기 때문에 금리가 상승(경기 침체 시)하는 시기에 투자가 어렵습니다.

 

4. 이자 수익 또한 국채 및 우량채에 편중되어 있어서 2%~3%대로 낮은 편입니다.

 

 

※ 국내채권 투자 전략 정리

 

단기 채권 - 현 시장의 불확실성이 증대되는 경우 단기적으로 예치하는 상품으로 활용

 

장기 채권 - 예금에 비교하여 조금 더 높은 수익률 기대 

 

 

 

 

◎ 해외채권의 특징


해외채권은 어떤 특징이 있는지 정리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1. 상대적으로 수익과 변동성이 높습니다.

 

2. 듀레이션이 국내채권 시장보다 길게(5년 ~ 10년) 형성되어 있습니다. 즉 채권 가격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게 됩니다.

 

3. 다양한 모든 신용등급의 채권에 투자할 수 있어 경기의 모든 사이클에 투자가 가능합니다. 

 

4. 만기 이자 수익이 높은 어메이징 및 하이일드 채권에 투자가능합니다.(5%~7%)

 

5. 해외 채권에 투자수익률은 환율에 영향을 받습니다. 

 

 

※ 해외 채권 투자 전략 정리

 

경기 하락기 - 신용등급이 높고 듀레이션이 긴 채권에 투자하여 투자수익률을 극대화 

 

경기 상승기 - 신용등급이 낮고 듀레이션이 긴 채권에 투자하여 투자수익 극대화

 

달러사진
왜 해외 채권에 투자해야 할까?

 

◎ 왜 해외채권에 투자해야 하는가?


글로벌 채권 시장에서 한국의 채권 시장의 비율은 1%밖에 되지 않습니다. 즉 국내 채권 투자만 하게 된다면, 99%의 시장의 기회를 잡지 못하는 것과 같습니다.

 

국내의 경우 국채와 우량회사채 위주의 안전 자산 산호 현상이 뚜렷한 시장입니다. 하지만 해외 채권의 경우 다양한 투자 방법이 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해외 투자 채권의 종류를 간단하게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선진국 국채 펀드- 미국 국채(Treasury), 일본 국채(JGB), 독일 국채(Bunt)

* 글로벌 회사의 우량한 회사채

* 하이일드 채권

* 이머징마켓 채권

 

 

 

 

◎ 국내 채권과 해외 채권의 투자 적기는 언제일까?


그동안 우리가 함께 공부했던 내용들을 표를 통해 정리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 국내 채권과 해외 채권 비교 정리

구분 국내채권 해외채권
듀레이션 1년 ~3년 5년 ~10년
채권 수익 2%~3% 5%~10%
변동성 매우 낮음 상대적으로 높음
환율위험 없음 있음
투자적기 경기 하락시 모든 경기 사이클에 투자 가능

 

국내 채권과 해외 채권을 비교했다면, 언제 투자에 들어가고 언제 환매를 해야 하는지 가장 중요한 사항을 정리하겠습니다.

 

구분 투자위험 수익구조 투자시점 환매시점
한국 국채 기준 금리 이자수익 + 자본수익 기준금리 하락기 기준금리 상승기
우량회사채(한국) 기준금리 +신용위험 이자수익 + 자본수익 중립
미국 국채 기준 금리 이자수익 + 자본수익 기준금리 하락기 기준금리 상승기
우량회사채(미국) 기준금리 +신용위험 이자수익 + 자본수익 중립
하이일드 채권(미국) 기준금리 +신용위험 이자수익 + 자본수익 기준금리 상승기 기준금리 하락기
현지통화표시EM채권 기준금리 +신용위험+환율변동 위험 이자수익 + 자본수익+환차익 기준금리 상승기 기준금리 하락기
외화표시EM 채권 기준금리 +신용위험 이자수익 + 자본수익 기준금리 상승기 기준금리 하락기

EM 채권 = 이머징마켓 채권

 

 

위 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신용등급이 높은 국채 또는 우량채 채권의 경우

 

투자 시점 :  경기 둔화가 시작되는 시점 즉 기준금리를 하락시키는 시작점이 가장 좋은 투자 적기입니다.

환매 시점 : 경기 회복이 시작되는 시점 즉 기준 금리를 상승키는 기 직전에 환매하는 적기입니다.

 

신용등급이 낮은 하이일드 및 이머징 채권의 경우

 

투자 시점 :  경기 회복이 시작되는 시점 즉 기준금리를 상승시키는 시작점이 가장 좋은 투자 적기입니다.

환매 시점 : 경기 회복의 후반기 즉 기준 금리를 하락시키기 직전이 환매하는 적기입니다.

 

계산기 팬
언제 투자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오늘은 국내 채권 해외 채권을 설명드리고, 왜 해외 채권에 투자를 하셔야 하는지에 대하여 설명드렸습니다.

또한 경기상황에 따른 투자와 환매 적기를 알아보기도 하였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더 세부적으로 들어가 어떤 채권펀드, ETF에 투자해야 하는지를 포스팅 예정입니다.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힙니다.

오늘 포스팅은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