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보를 드리는 신나는 경제입니다.
오늘은 마지막으로 중요한 채권투자개념인 듀레이션에 관하여 자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채권 투자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서 이번 포스팅을 여러 번 읽어주시고 꼭 이해하셔여 합니다.
그만큼 중요한 개념이니 최대한 쉽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채권 만기와 듀레이션의 관계
채권의 만기는 채권의 자금이 회수되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서 10년 만기 국채 라고 하면 채권 만기는 10년이 되겠죠. 듀레이션의 개념은 조금 더 복잡하지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채권만기가 듀레이션이라고 생각하셔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채권 만기 = 듀레이션
그래도 듀레이션의 정확인 뜻을 알아보겠습니다.
듀레이션이란?
듀레이션이란 각기의 현금 유입을 만기수익률로 할인한 현재가치에 장래의 현금흐름이 발생하는 시점까지의 기간을 가중하여 구한 값으로, 현재가치 1원이 상환되는데 소요되는 평균상환 기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
위의 개념은 너무 어렵게 설명돼 있어서 이해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주식의 개념과 비교하여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주식과 채권 비교
자산 종류 | 민감도 지표 | 대상 지표 | 내용 |
채권 | 듀레이션 | 시장 금리 | 시장금리 변동에 따른 개별채권의 민감도 |
주식 | 베타 | 주가지수 | 주식시장 변동에 따른 개별 주식의 가격 민감도 |
위 표를 풀어서 설명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식의 베타란 종합주가지수가 1만큼 상승했을 때 개별주식의 가격은 얼마의 비율로 상승했는지에 대한 개념입니다.
예) 베타가 2인 개별주식은 종합주가지수가 1만큼 올랐을 때 개별주식의 가격이 2만큼 오름 (정비례 관계)
채권의 듀레이션이란 시장금리가 1만큼 올랐을 때 개별채권가격은 얼마큼 하락하는지에 대한 개념입니다.
예) 듀레이션이 2인 개별 채권은 시장금이가 1만큼 올랐을 때 2만큼 하락(반비례 관계)
정리해서 이야기드리며 듀레이션은 시장 금리에 따른 채권가격의 민감도입니다.
이 개념도 조금은 어려우실 수 있으니 단순히 듀레이션은 = 채권의 만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금리와 채권의 관계가 아직 생소하시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2023.03.02 - [신나는 경제 이야기] - 채권 가격과 금리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까?
채권 가격과 금리는 어떤 상관 관계가 있을까?
◎ 채권이란? 채권은 투자자가 일반적으로 정부나 기업과 같은 대출자에게 빌려주는 고정수익증권의 일종이다. 채권에는 자금을 빌리는 비용을 나타내는 만기일과 만기일에 받을 이자율이 정
nice-economy.tistory.com
◎ 만기 긴 채권에 언제 투자해야 할까?
위에서 언급 한 대로 채권의 만기는 듀레이션과 같은 개념이라고 설명드렸습니다.
즉 채권의 만기가 길수록 듀레이션이 커지고 채권의 만기가 짧을수록 듀레이션이 짧아지는 관계입니다.
이자율 변동과 듀레이션에 관계에 따른 채권 가격 변화표
이자율의 변화 | |||||||||
- 2.0 | - 1.0 | - 0.5 | 0.0 | 1.0 | 2.0 | 3.0 | 단위 (%) | ||
듀레이션 | 0.5 | 1.5 | 0.5 | 0.25 | 0.0 | - 0.5 | - 1.0 | -1.5 | |
1 | 2.0 | 1 | 0.5 | 0.0 | - 1.0 | - 2.0 | - 3.0 | ||
2 | 4.0 | 2 | 1 | 0.0 | - 2.0 | - 4.0 | - 6.0 | ||
5 | 10.0 | 5 | 2.5 | 0.0 | - 5.0 | - 10 | -15.0 |
듀레이션의 개념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채권가격의 변동 = - (듀레이션) X 시장금리 변동
여기서 다시 한번 확인해야 할 개념은 듀레이션은 시장금리와 반비례 관계에 있다는 것입니다.
위 표를 정리해서 말씀드리면 만기가 긴(듀레이션이 큰) 채권의 경우 시장 금리변동에 따른 채권가격이 크게 변화한다는 것입니다.
◎ 어떤 듀레이션을 가진 채권에 투자해야 할까?
가장 중요한 내용인 어떤 듀레이션을 가진 채권을 투자해야 할까에 대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말씀드리겠습니다.
현재의 경기에 따라 듀레이션을 이용한 채권 투자 전략은 달라져야 합니다.
경기 예상 | 투자 채권 | 효과 | 투자 총수익 |
기준금리 상승기 | 단기채권 | 채권의 이자수익 | 낮은 투자 수익 |
기준금리 하락기 | 장기채권 | 채권의 이자수익 + 채권 가격상승 |
높은 투자수익 |
기준금리가 상승하려고 할 시기에는 듀레이션이 짧은 단기채권에 투자해야 합니다. 채권의 특성상 만기의 정해진 이자를 받을 수 있기 때문 이죠.
기준금리가 하락하려고 할 때는 듀레이션이 긴 장기채권에 투자하셔야 합니다. 채권의 이자수익뿐만 아니라 채권 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이익이 극대화되기 때문이죠.
◎ 2023년 어떤 듀레이션을 가지는 채권에 투자해야 할까?
SVB은행의 파산은 다들 들어보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SVB 뱅크의 파산의 직접 적인 원인은 채권만기가 10년 이상의 미국 장기 국채에 많은 투자 했기 때문입니다.
미국 기준 금리가 3%가 올랐을 때 산술적으로 계산했을 때 SVB 은행은 - 30%의 수익률을 기록하게 된 거죠. 이에 불안을 느낀 고객들의 뱅크런이 발생하면서 파산에 이르게 된 것입니다.
그러면 우리는 이제 어떤 듀레이션을 가진 채권에 투자해야 할까요. 감히 예상하건대 올해 안에 기준금리가 동결되고 나아가 하락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미국의 FOMC도 금리를 더 이상 가파르게 올리기 힘들기 때문이죠.
2023년 FOMC의 기준금리 인상을 동결한다면, 다음번에는 기준금리는 낮출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그러면 우리는 채권만기(듀레이션)가 아주 긴 채권에 투자해야 할 타이밍이 된 것입니다.
만약 채권만기가 20년인 미국 국채에 투자한 상황에서 기준 금리가 1% 하락한다면 얼마의 수익을 받을 수 있을 까요?
간단하게 계산하면 20%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습니다.
결론은 금리 하락 시가 도래하면 만기(듀레이션)가 긴 채권에 투자하면 주식 못지않은 수익을 거둘 수 있는 것입니다.
이전의 포스팅에서 채권 신용도에 따른 투자 전략을 설명드린 적이 있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채권 신용도와 듀레이션을 어떻게 결합해서 투자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포스팅 예정입니다.
이래의 포스팅에는 채권신용도에 따른 투자 방법을 자세하게 포스팅했습니다. 다음 포스팅을 넘어가시기 전에 꼭 읽어 주시길 바랍니다.
2023.03.16 - [신나는 채권투자 이야기] - 경기 하락기 채권투자 방법 STEP 3
경기 하락기 채권투자 방법 STEP 3
채권 투자의 개념에 대하여 어느 정도 인지하셨다면, 경기상황에 맞추어 어떤 채권에 투자해야 할지 정확하게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경기가 좋아지거나 나빠지는 것에 따라서
nice-economy.tistory.com
이상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신나는 채권투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채권과 해외채권 투자 타이밍 (ft.해외채권에 투자하라) STEP 6 (1) | 2023.04.01 |
---|---|
채권 신용등급과 듀레이션으로 보는 채권투자 STEP 5 (0) | 2023.03.24 |
경기 하락기 채권투자 방법 STEP 3 (0) | 2023.03.16 |
채권 직접 투자와 간접 투자 핵심 장단점(ft.투자 전 고려 사항) (0) | 2023.03.13 |
채권 투자 핵심 방법 및 개념 정리 STEP 1 (ft. 예금과 비교) (0) | 2023.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