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나는 채권투자 이야기

경기 하락기 채권투자 방법 STEP 3

by 신나는경제 2023. 3. 16.
반응형

채권 투자의 개념에 대하여 어느 정도 인지하셨다면, 경기상황에 맞추어 어떤 채권에 투자해야 할지 정확하게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경기가 좋아지거나 나빠지는 것에 따라서 어떤 채권에 투자해야 할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기 상황과 채권 금리 관계에 대하여 정확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채권 투자 방법
채권 투자는 언제 해야 할까?

◎ 채권의 등급은 어떻게 표현될까?


채권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어떤 등급의 채권에 투자해야 하는지부터 결정해야 합니다. 그래야 예상 수익과 변동성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죠. 

 

해외의 3대 신용평가 기관의 채권 금리 표기부터 설명드리겠습니다.

  S&P Fitch Moody's 5년 이내 부도 확률
투자적격 채권 AAA AAA Aaa 0.17%
AA AA Aa 0.33%
A A A 0.67%
BBB BBB Baa 3.33%
투자비적격 채권 BB BB Ba 10%
B B B 20%
CCC CCC Caa 50%
CC CC
D D C -

각 신용 평가사마다 비슷하거나 조금 다른 표기를 사용하는데요, 여기서 확인해야 할 것은 어떤 것이 투자 적격채권이고 어떤 것이 투자 비적격 채권인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AAA(S&P 기준)는 1년도 아닌 5년 내 부도 확률이 현저하게 낮은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신용도에 따른 평가를 S&P를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조금 더 신용도 관한 이해를 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신용등급에 따른 평가
투자적격 채권 AAA 상환 능력이 최고 수준임
AA 상환 능력이  매우 우수함
A 상환능력이 양호함
BBB 상환능력 양호함
투자 부적격 채권 BB 당장 문제는 없지만 장래에 위험 내포
B 상환 능력이 부족함
CCC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있음
CC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높음
D 상환이 불가능한 상태임

 

위 표에서 확인하시면 채권 신용이 BBB 이상이면 투자적격 이하이면 투자 비적격 채권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투자 적격에만 투자하고 투자 비적격에는 투자하면 안 되는 것일까요?  

 

이제부터 천천히 어떤 등급에 채권에 투자해야 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채권 금리
채권 금리는 어떻 게 정해질까?

 

◎ 채권의 금리는 어떻게 정해질까?


모든 채권의 금리는 어떻게 정해지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채권 금리 = 국채금리(만기가 동일) + 발행한 기업(가산금리)

 

쉽게 정리하자면 현재 국채의 금리에 발행한 기업의 신용도에 따라 가산금리를 더하면 해당 채권의 금리가 정해지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해당 금리는 임의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국채금리 가산금리 총 채권금리
국채 2% 0% 2%
준정부채 2% 1% 3%
투자적격 채권 2% 3% 5%
투자 부적격 채권 2% 5% 7%

위 표에서 보시면, 채권의 신용도가 낮을수록 가산금리는 높아지고 있습니다. 당연하게 신용도가 낮은 채권은 금리가 높아 수요가 생기기 때문이죠. 

 

가산금리는 경기가 안 좋을 때 높아지고, 경기가 좋을 때 내려갑니다. 이는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죠. 

국채금리는 경기가 안 좋을 때 낮아지고, 경기가 좋을 때 올라갑니다.

 

결국 국채금리와 가산금리는 역의 관계라는 것을 꼭 명심하셔야 합니다.

 

채권의 가산금리
채권가격과 가삼금리의 관계를 확인하자

◎ 채권가격과 가산금리


우선 채권 금리와 채권 가격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개념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2023.03.02 - [신나는 경제 이야기] - 채권 가격과 금리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까?

 

채권 가격과 금리는 어떤 상관 관계가 있을까?

◎ 채권이란? 채권은 투자자가 일반적으로 정부나 기업과 같은 대출자에게 빌려주는 고정수익증권의 일종이다. 채권에는 자금을 빌리는 비용을 나타내는 만기일과 만기일에 받을 이자율이 정

nice-economy.tistory.com

 

 

여기서 추가로  꼭 알아야 할 개념은 투자적격과 투자 비적격의 금리를 이루는 비율입니다.

  국채금리 가산금리
국채 100% 0%
준정부채 90% 10%
투자적격 회사채 70% 30%
투자 부적격 회사채 30 70%

위 표에서 보실 수 있듯이 안정적인 채권일수록 가산금리의 비중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채권금리와 채권가격의 관계와 가산금리의 비율을 정확히 인지하셔야 제일 중요한 결론을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채권 투자
채권 투자 방법 정리

◎ 투자 방법 정리


● 경기 하락 국면

 

경기가 나빠지고  있는 국면이라면 국채(투자 적격채권)에 투자하시면 됩니다.

경기가 나빠지면 중앙은행은 기준 금리는 낮추게 됩니다. 그러면 국채금리 또한 낮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국채금리와 국채가격은 반대의 관계로 움직이기 때문에 국채가격은 상승하게 됩니다. 

 

● 경기 상승 국면

 

경기가 좋아지고 있는 국면이라면, 투자 비적격채권에 투자하시면 됩니다.

 

경기가 나빠지면 중앙은행은 금리를 높이게 됩니다. 그러면 국채금리는 높아지고 채권가격은 낮아집니다.

하지만 투자 비적격채권의 특성상 가산금리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총금리는 낮아지게 됩니다.

 

기존의 투자 비적격 채권보다 총금리가 낮아지게 되면 채권 가격은 상승하게 됩니다.

 

위의 정리된 이야기가 조금 어렵게 느껴지실 수 도 있습니다. 하지만 결국 경제상황에 따라 어떤 채권에 투자해야 하는가를 정확하게 인지하시면 됩니다. 

 

채권 투자
채권 투자를 하자

※ 결론 

경기 상승 국면에는 가산금리의 비중이 높고 신용등급이 낮은 투자비적격채권(어메이징 마켓, 하아일드)에 투자하시면 됩니다.

 

경기 하락 국면에는 국채금리 비중이 높은 투자적격채권에 투자하시면 됩니다.

 

요즘 같이 기준금리를 낮추려고 하는 시기라면 (경기 하락 국면) 국채등 우량채에 투자하시면 투자 수익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제가지 경기상황에 따른 투자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채권의 만기에 관하여 포스팅 예정입니다.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