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시경제와 거시경제
경제학에는 크게 미시경제와 거시경제라는 개념이 있다.
미시경제 - 경제의 각 구성요소에 각자에 초점을 맞춘다(나무)
거시경제 - 거시경제학은 한 나라의 경제 정책과 행동이 전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야기한다(숲)
우선 미시경제학의 개념부을 분석해보자.
미시경제학은 거시경제학과 함께 경제학의 주요 기초 중 하나로, 가계와 기업 등 개별 경제주체 간의 행동과 상호 영향으로 인한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과 거래량, 그리고 각 시장의 균형점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설명하고 연구하는 경제학의 분야이다.
산업조직론은 경제주체가 활동하는 시장의 독점 정도에 따라 완전경쟁, 과점경쟁, 독점경쟁, 독점시장으로 구분하는 학문의 한 분야이다. 지금까지는 경제에 존재하는 모든 제품의 시장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인 제품의 시장을 분석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것을 부분 균형 분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미시경제학의 연구대상
미시경제 이론에서의 연구 대상은 소비자와 기업이다. 두 경제 주체는 생산요소와 시장과 제품 시장을 통해 경제활동을 수행한다. 소비자는 효용 극대화와 지출 최소화를, 기업은 이익 극대화와 비용 최소화를 목표로 한다.
기업 이익 극대화를 총소득 극대화와 총비용 최소화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이익은 총소득에서 총비용을 뺀 생산활동에서 기업이 거둬들이는 순익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미시경제학의 분석의 초점은 개별 단위의 경제 주체의 최적화에 맞춰져 있지만, 복지경제학의 주제는 분석의 범위를 확대하여 일반경제를 다루는 '일반균형'을 분석하여 독립적인 주제로 취급하는 것이다. 일반 평형에서 나타나는 균형 매개체는 유명한 '보이지 않는 손'의 다른 이름인 '상대적 가격'이다.
미시분석에서 얻은 결론으로 국민경제에서 발생한 경제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개별 경제주체들의 행동를 분석하고 전체적으로 접근하는 입장이다. 고전학파들이 개별경제의 운동법칙만을 분석한 것은, 개별경제에 적용되는 경제원리가 그대로 국민경제에 적용될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개별 경제주체로서의 가계와 기업의 경제활동의 원리, 경제주체로서의 재화와 그와 관련된 물가현상을 설명하는 '물가분석'이 되었다.
◎미시경제의 학문 역사
1930년대 이후 세계 자본주의는 가격을 조절하는 능력을 많은 부분에서 상실하였고, 유효 수요 부족과 맞물려 경제가 불안해지면서 불완전 고용에 이르게 되었다. 미시적 분석만으로는 이러한 상황들을 상단부분 설명할 수 없게 되자, 거시적 분석에 기초한 케인즈의 거시경제학이 주류 경제학계에 등장하게 된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로 인해 미시경제학의 존재이유를 완전하게 상실했다는 것은 아니며. 완전고용이 이뤄지게 된다면 결국에는 자원의 합리적 배분 문제를 거시경제 학에서는 다루기 어려워 미시경제학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이다.
역사적으로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은 항상 상호 보안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주류경제학파를 형성해왔다.
다음포스팅에서는 거시경제학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도록 하자.
'신나는 경제이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 경제학이란? (0) | 2023.02.13 |
---|---|
거시 경제학이란? (0) | 2023.02.13 |
수요법칙과 공급법칙? (0) | 2023.02.13 |
존 메이너그 케인스? (0) | 2023.02.10 |
경제학이란? (0) | 2023.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