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존 메이너그 케인스는 누구인가?
존 메이너그 케인즈는 1883년 빅토리아 시대에 독실한 청교도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저명한 경제학자이자 논리학 강사였다. 또한 그의 어머니는 시의원이었다. 어머니는 시장까지 역임하였다. 케인즈는 부유한 부르주아 계급에서 태어났다. 그는 이튼 칼리지를 졸업했고, 그곳에서 엘리트 교육을 받으며 성장하게 된다.
1902년 케임브리지 대학에 입학한 케인스는 엘리트와 사도라고 불리는 비밀 학교 클럽에 가입했다. 그 사도들은 화이트헤드, 리튼 스트릭, I.M. 포스터, 레너드 울프, 무어 등 후에 유명해 지는 사람들도 속해 있었다.아이러니 하게도 경제학에 큰 업적을 남긴 케인스는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았고, 단지 대학원생이었을 때 경제학 수업을 들었을 뿐 이었다. 케인즈의 전공 수학이었고 철학 분야에도 상당한 관심이 있었다. 학위 취득 후이도 케임브리지에 머물면서 철학 수업만은 들었다고 한다.
케인스는 여러 방면에서 진보세력의 경제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당시 영국 보수당에 대항하여 영국 자유당 소속으로 정치적으로 자유주의를 주장하였다. 하지만 그는 사회주의자가 아니라 사회자유주의자였고, 마르크스주의에 특히 비판적이었다.
◎ 존 메이너그 케인스
케인스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케인스는 경제학의 주류를 이루고 있던 자본주의에 수정의 필요성을 주장한 대단히 영향력이 큰 경제학자이며, 지금의 거시경제학을 있게 만든 학자이다. 단순한 가격으로는 효율적인 배분이 불가능하다고 이야기하면서 정부의 적극적 개입을 주장하였다.
그는 세계 경제 대공항을 분석하면서, 물가나 임금 등 명목 변수들의 경직성과 시장 자체의 펀더멘탈보다는 부정적인 전망이 널리 퍼져 있으므로 해서 금융이 얼어버리는 현상이 원인이라고 분석하였다. 당시만 해도 세이의 법칙이 작용하든 아니면 시장 자체의 자율적 회복력을 믿고 기다려야 한다는 이론이 지배적인 시대였다. 이때 케인스는 다른 의견이 제시하였다.
케인스의 의견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공급 과잉이 발생하면 정부가 개입하여 수요를 창출시켜라.' 이었다. 그전까지는 이전 글에서 살펴보았던 '보이지 않는 손'이 모든 장기적인 경제문제를 해결해 줄 것이라는 믿음이 주류 경제학자들 사이에서 팽배해 있었기 때문에 그의 주장은 쉽게 받아들여 지지 않았다.
이때의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같은 학자들은 여전히 시장이 모든 것을 해결해 줄 것이라고 믿었다. 이는 인간의 고통은 생각하지 않는 이론적인 이야기 일 뿐이었다. 이러한 주장을 하는 경제학자들은 결국 시장이 가져다주는 균형이 인간 생애 주기보다 길 수도 있다는 사실은 인정하지 않았다.
◎뉴딜 정책
미국의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의 그 유명한' 뉴딜 정책'이 등장하게 된다. 뉴딜 정책은 케인스의 이론이 당시 경제 상황에서는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증명하게 된다. 이후 전 세계적인 경제 공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각국의 정부들은 케인스가 주장한 이론들을 배우고 참고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케인스의 다른 이면을 살펴보면, 그는 철저한 엘리트주의자였다. 경제적 신념이 확고했다고 평가하기보다는 기존 체제를 유지하여야만 하는 엘리트로서 당시 상황에 필요한 논리를 전개하여 지배계층을 대변하는 학자였다는 면도 있었다.
◎스태그플레이션
1970년대 이후에 발생한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케인스의 이론이 효과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대 새롭게 등장한 것이 바로 통화주의와 새고전주의 였다. 이는 정부의 간섭이 필요하지만 너무 많은 간섭하지 않는 절충적인 방향으로 주류 경제학이 변경되시 시작한다.
하지만 당시의 스테그플레이션은 케인즈의 이론이 잘못되었다고 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당시 경제상황을 보자면 미국은 심각한 무역적자에 직면해 있었고 달러를 많이 보유하고 있던 국가들은 달러를 다른 통화들과 교환하면서 달러의 가치는 더욱더 하락하게 된다. 그때 석유값까지 폭등하여 스태그 플레이션을 가중 시키게 된다.
이제까지 케인즈에 이론에 관하여 살펴 보았습니다.
'신나는 경제이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 경제학이란? (0) | 2023.02.13 |
---|---|
거시 경제학이란? (0) | 2023.02.13 |
수요법칙과 공급법칙? (0) | 2023.02.13 |
미시경제학이란? (0) | 2023.02.11 |
경제학이란? (0) | 2023.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