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정보를 전달드리는 신나는 경제입니다.
오늘은 앞선 포스팅에서 배웠던 채권의 신용등급과 듀레이션의 개념을 가지고 정확하게 어떤 채권에 투자해야 할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려고 합니다.
앞선 채권 신용도와 듀레이션의 개념이 아직 생소하시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한번 더 보시고 이어지는 내용을 보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2023.03.16 - [신나는 채권투자 이야기] - 경기 하락기 채권투자 방법 STEP 3
경기 하락기 채권투자 방법 STEP 3
채권 투자의 개념에 대하여 어느 정도 인지하셨다면, 경기상황에 맞추어 어떤 채권에 투자해야 할지 정확하게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경기가 좋아지거나 나빠지는 것에 따라서
nice-economy.tistory.com
2023.03.22 - [신나는 채권투자 이야기] - 채권투자 만기와 듀레이션을 이해하고 투자 하자 STEP 4
채권투자 만기와 듀레이션을 이해하고 투자 하자 STEP 4
경제정보를 드리는 신나는 경제입니다. 오늘은 마지막으로 중요한 채권투자개념인 듀레이션에 관하여 자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채권 투자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서 이번 포스팅을 여러 번
nice-economy.tistory.com
◎ 채권 신용도와 듀레이션으로 보는 채권 특징
우선 채권 신용도와 듀레이션의 관계를 표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내용 | 채권 듀레이션 | |||
단기 | 중기 | 장기 | ||
채권 신용등급 | 높은 등급 | 변동성과 수익률 낮음 | ||
중간 등급 | ↘ | |||
낮은 등급 | 변동성과 수익률 높음 |
위 표에서 확인하실 수 있듯이 신용등급이 높고 듀레이션이 단기일수록 변동성과 수익률은 낮아집니다
반대로 채권의 신용등급이 낮고 듀레이션이 장기일 수록 변동성과 수익률은 높아지게 됩니다.
예를 들어 설명드리면 채권등급이 아주 낮은 BB등급(하이일드채권)이고 듀레이션이 10 인 채권이라면 투자 위험이 크지만 수익도 그만큼 많이 낼 수 있다고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시장 상황별 적합한 투자 채권 찾기
채권투자를 하려고 하실 때는 반듯이 채권의 신용등급과 듀레이션을 확인하셔와 합니다. 채권 투자의 처음과 끝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죠.
왜냐하면 채권의 신용등급과 듀레이션을 알고 있다면 내가 투자하는 채권의 미래에 예상되는 수익과 그에 따르는 리스크를 알고 관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제는 시장에 따라 어떤 채권에 투자해야 하는지 정확하게 판단해 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아래의 내용이 핵심 내용이니 꼭 읽어 주시길 바랍니다.
● 경기하락 시 (금리 하락기)
듀레이션(채권만기)이 길고 신용등급이 높은 국채에 투자에 투자해야 합니다.
위 내용을 순서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경기가 하락하면 시장 금리가 하락하게 됩니다
2. 시장금리가 하락하면 국채금리 하락합니다.
3. 국채금리가 하락하면 국채가격은 상승합니다.
4. 이때 듀레이션이 긴 국채는 민감하게 반응하여 수익을 극대화시킵니다.
● 경기상승 시 (금리 상승기)
듀레이션은 길고 신용등급이 낮은 하이일드 채권에 투자해야 합니다.
위 내용을 순서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경기 상승하면 시장금리도 상승하게 됩니다.
2. 시장금리가 상승하면 국채금리는 상승, 가산금리는 하락하게 됩니다.
3. 하이일드 채권의 경우 가산금리의 비중이 높아 총채권의 금리는 감소하게 됩니다.
4. 하이일드 채권의 금리가 하락하면 하이일드 채권의 가격은 상승합니다.
5. 이때 듀레이션이 긴 하이일드채권이 민감하게 반응하여 수익을 극대화시킵니다.
이론 적으로 채권을 어느 정도 이해 하신 상태가 되셨습니다. 어떻게 채권투자 상품을 선택해야 할지 감을 잡으셨다면 이제는 실제로 채권 투자 상품이 어떤 것이 있는지 다음 STEP에서 포스팅하겠습니다.
◎ 2023년 채권 투자 전망
드디어 미국의 기준금리가 5%에 진입하게 되었네요. 시장의 예상과 비슷하게 0.25 % p 인상을 했습니다. 그리고 파월이 이번에는 "금리 동결도 고민했다"는 발언도 하였습니다. 역시 미국 은행들의 위기를 언급하며 신경 쓰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또 다른 이야기로는 :연내 금리 인하는 생각도 하지 않는다"는 발언을 하여 투자자 입장에서 해석이 조금 어렵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미국 선물시장의 경우 연내 금리하락에 조금 더 높은 가능성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있네요.
최근 파월의 발언의 신뢰도가 조금은 떨어진 듯합니다. 하지만 어제의 발언으로 최소한 한 번의 기준금리 변화를 더 살펴 보야야 될 듯합니다. 긴축의 강도는 확실하게 약해진 듯하니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래도 100% 확신하는 것은 채권 투자 기회가 다가왔다는 사실입니다.
이상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신나는 채권투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 펀드와 ETF 선택시 필수 확인 10가지 STEP 7 (1) | 2023.04.17 |
---|---|
국내채권과 해외채권 투자 타이밍 (ft.해외채권에 투자하라) STEP 6 (1) | 2023.04.01 |
채권투자 만기와 듀레이션을 이해하고 투자 하자 STEP 4 (0) | 2023.03.22 |
경기 하락기 채권투자 방법 STEP 3 (0) | 2023.03.16 |
채권 직접 투자와 간접 투자 핵심 장단점(ft.투자 전 고려 사항) (0) | 2023.03.13 |